Net Eng

Routing Protocol - RIP 본문

Network/이론

Routing Protocol - RIP

欲心 2024. 6. 2. 22:39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IGP, Distance Vector방식 사용(30초 주기)하는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으로 인접한 라우터의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 로컬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등록을 하면 이후 라우터 끼리의 정보 교환을 통해 이웃 원격지 네트워크 정보를 학습하여

Hop Count가 가장 적은 경로로 라우팅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RIPv1 : Classful

RIPv2 : Classless

RIPv3 : IPv6

 

※ Classful 방식은 서브넷 마스크를 인식하지 못함

※ Classless 방식은 서브넷 마스크를 학습 UDP 520번으로 업데이트

 

기본 관리거리 값은 120 사용 하며 로컬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학습한 경로로 동일한 정보를 넘기지 않음 (Split horizon)

[RIPv1 특징]
-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업데이트 : 255.255.255.255
- 업데이트 시 UDP 520번 사용
- Classful 방식 사용 : Subnet mask 사용 안함
- 주기적 업데이트 : 매 30초 주기 사용
- 메트릭 구성요소는 hop count 사용 [최대 15홉]

Routing Loop 예방책
1. Split Horizon : 경로를 학습한 인터페이스로 동일한 정보를 되돌려 주지 않는다.
2. Route Poisoning : RIP의 최대 홉 수(15홉)를 초과하는 메트릭 값을 이용해 
					정보 전달 (주로 다운된 네트워크 정보 전달에 사용)
3. Poison Reverse : 라우트 포이즌 정보를 전달한 라우터에 역으로 동일한
					정보를 되돌림(Split horizon이 예외적으로 동작하지 않음)
4. 각종 타이머 사용 : Update timer, Invalid timer, Holddown timer
					Flushed timer (sh ip protocol)

-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절차

1. 이웃 라우터로부터 라우팅 정보를 받지 못했을경우 180초 동안 대기 후 변화를 감지
2. 180초 동안 라우팅 정보를 받지 못할 경우 hold down 상태로 전환
3. hold down 상태로 전환된 이후 60초 동안 라우팅 정보를 받지 못할경우 해당 경로를 삭제

변경시 네트워크 반영은 총 180+60 = 240초(4분) 가 걸린다.
* flush timer : 240 , flush timer 240 가 넘으면 해당 경로가 삭제

Trigger Update : OSPF, EIGRP에서 사용 => 신속한 업데이트

* RIPv2를 이용한 Classless 구성
Loopback은 논리 인터페이스로 주로 라우터의 식별자와 Test용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 번호는 2^31 = 2,100,00,000개 까지 생성 가능

RIPv1 VS RIPv2
[차이점]
- RIPv2는 낮은 버전의 정보를 무시(Ignore)하기 때문에 테이블 업데이트는 하지 않음
	버전이 낮은 라우터는 1,2 모두를 학습하기 때문에 테이블 정보가 업데이트 됨.
- Classful과 Classless
- VLSM지원 여부
- Route summary 지원 여부(Supernetting 가능 여부)
- 테이블 업데이트시 브로드캐스트(255.255.255.255), 멀티캐스트(224.0.0.9)
- 인증 기능 지원 여부

[공통점]
- 주기적 업데이트 : 기본값 30초
- Passive-interface 선언 (모든 인터페이스에 테이블 정보 전송 방지)
- 업데이트 시 UDP 520번 사용

'Network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0) 2024.06.02
Routing Protocol - OSPF  (0) 2024.06.02
Switch & Router  (0) 2024.06.02
OSI 7 Layer  (1) 2024.06.02
Routing Protocol - EIGRP  (0) 2024.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