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명령어
- OSI 7 layer
- rip
- vrrp
- stp
- GLBP
- ipv6
- 라우터
- Vlan
- CKA
- ACL
- 장비
- NAT
- tunneling
- 헤더
- OSPF
- eigrp
- crontab
- ripng
- Etherchannel
- Inter VLAN
- eigrpv2
- ospfv3
- Redistribute
- 스위치
- Chrony
- DHCP
- Today
- Total
목록Cloud/Kubernetes (24)
Net Eng

[선수 지식]파드 스케줄링(Pod Scheduling)* Node Labels/nodeSelector* Affinity/Antiaffinity- Node Affinity- Pod Affinity* Node Taints, Pod Tolerations+* drain* cordon/uncordon [선수 작업]kubectl config set-context k8s --user=kubernetes-admin --cluster=kuberneteskubectl label node node01 disktype=ssd [문제]Schedule a pod as follows:name: eshop-storeimage: nginxnode selector: disktype=ssd작업 클러스터: k8s [풀이]kubectl ..

1. 배포 정책/업데이트 정책 - Rolling update/Rollback - Canary update - Blue-Green 2. Rolling update/Rollback 1) kubectl set imagekubebctl set image deploy DEPLOY CONTAINER=버전 --record2) kubectl edit 3) kubectl apply 3. Rollback kubectl rollout history deploy DEPLOYkubectl rollout undo deploy DEPLOY [선수 작업]kubectl config set-context k8s --user=kubernetes-admin --cluster=kubernetes [문제]Q. Create a deploym..

[선수 지식]1. Deployment- Deployment > ReplicaSet > Pod x N- Rolling Update & Rollback 2. Pod Scale1) kubectl scale CMDkubectl scale deploy DEPLOY --replicas=N 2) kubectl edit CMDkubectl edit deploy DEPLOY 3) kubectl apply CMDkubectl get deploy DEPLOY -o yaml > deploy.yamlvi deploy.yamlkubectl apply -f deploy.yaml [선수 작업]kubectl config set-context k8s --user=kubernetes-admin --cluster=kuberneteskub..

Multi-Container Pod 패턴 - adapter - support - side-car side-car 컨테이너란?-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컨테이너 주요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인 컨테이너는 기본 기능을 담당하고, sidecar 컨테이너는 여러 가지 작업을 처리하며 주 컨테이너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로깅,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sidecar 컨테이너로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컨테이너가 단일 책임 원칙을 따르며 서로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개발 및 배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선수 작업]kubectl apply -f - i=1; while :; do echo -e "..

[선수 작업]kubectl config set-context hk8s --cluster=kubernetes --user=kubernetes-admin [문제]Q. Create a pod named lab004 with 3 containers running: nginx, redis, memcached 작업 클러스터: hk8s [풀이]kubectl config use-context hk8s* 작업 클러스터 사용 kubectl run lab004 --image=nginx --dry-run=client -o yaml > multi.yaml* dry-run 명령어로 yaml 파일 생성 vi multi.yaml* yaml 파일을 에디터로 열어 image 추가 apiVersion: v1kind: Podmetada..

Static Pod 란?- kubernetes 클러스터에 직접 정의된 Pod, 일반적으로 API 서버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다.- kubelet에 의해 관리되는 Pod- 지정된 노드에 관리용으로 생성되어야 하는 파드를 기동할 때 사용한다. Manifest 파일정적 Pod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해당 Pod의 구성을 담은 manifest 파일이 필요합니다. 이 파일은 보통 YAML 또는 JSON 형식으로 작성되며, Pod의 메타데이터, 컨테이너, 볼륨 및 기타 설정을 정의합니다. kubelet의 디렉토리 정적 Pod을 실행하려면 kubelet이 정적 manifest 파일을 읽을 수 있는 디렉토리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디렉토리는 일반적으로 kubelet의 구성 파일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var/lib/kube..

Pod란?- 클러스터에서 실행되는 가장 작은 논리적인 컴퓨팅 단위- Pod안에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가 함께 실행되며, 이 컨테이너들은 네트워크와 스토리지를 공유 쿠버네티스 포드(Kubernetes pod)란? 개념, 사용 방법, 패턴쿠버네티스 포드(Kubernetes pod, 쿠버네티스 파드)는 리눅스 컨테이너를 모은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의 최소 단위(pod)이며, 이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의 장점입니다.www.redhat.com [선수 작업]- k8s 컨텍스트 생성kubectl config set-context k8s --user=kubernetes-admin --cluster=kubernetes [문제]Q. Create a new namespace and create a pod in the nam..

[선수 지식]* POD(etcd) : kubectl get pods -n kube-system * Static Pod(etcd) : /etc/kubenetes/manifests/etcd.yaml * volume : /var/lib/etcd/ -- volume mount --> /var/lib/etcd [선수 작업]- 작업 디렉토리 생성 mkdir -p /data - 백업본 생성ETCDCTL_API=3 etcdctl \--endpoints=https://127.0.0.1:2379 \--cacert=/etc/kubernetes/pki/etcd/ca.crt \--cert=/etc/kubernetes/pki/etcd/server.crt \--key=/etc/kubernetes/pki/etcd/server.key..